Surprise Me!

[아는 기자]최전방 긴장 고조…5년 전으로 회귀?

2023-11-27 22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의 조치가 어느 정도 위협적인 건지 정치부 조영민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Q1. 북한이 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요. 도대체 어디에 뭘 세운 겁니까?<br> <br>비무장 지대 내부에 최전방 감시초소, GP라고 하죠. <br> <br>이걸 복원하는 움직임이 우리 군 감시 장비에 포착된 겁니다. <br><br>지난 2018년 9·19 남북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이 똑같이 초소 10개를 폭파하거나 철거했는데, 이 초소 복원 작업을 시작한 겁니다. <br><br>군이 공개한 4장의 사진을 보면 무반동 총 같은 화력이 강한 무기가 초소에 투입되거나, 야간에도 병사들을 투입해 보초를 서는 모습 등이 담겼습니다.<br> <br>평소 한두 개 정도 열려있던 북한 해안포 포문도 수배 이상 늘었다는 게 군 설명입니다. <br><br>Q2. 그럼 5년 전 9.19 합의 전으로 완전히 돌아간 건가요? <br><br>일단 5년전 남북 양측이 GP를 철거했을 때 당시 모습을 볼까요. <br><br>보시는 것처럼 남북 양쪽이 10개 초소에 폭발물을 설치해 폭파하기도 했고요. <br> <br>북측 병사들이 곡괭이를 이용해 초소를 철거하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. <br><br>현재 우리 감시장비로 관측된 복원 수준은 철거 전처럼 콘크리트 형태는 아니고 나무를 활용한 가건물 수준이라는데요, <br> <br>완전히 그 전으로 복원할 거냐는 조금 더 지켜봐야한다고 합니다. <br><br>Q3. 북한의 대응 속도가 어쨌건 속전속결입니다. 말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주겠다고요. <br><br>닷새전 우리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한 대응 조치로 군사분계선 인근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해제하자 하루 만에 북한은 이런 입장을 냈죠. <br> <br>[조선중앙TV (지난 23일)] <br>"지금 이 시각부터 우리 군대는 919 북남 군사분야 합의서에 구속되지 않을 것이다. 군사분계선 지역에 보다 강력한 무력과 신형 군사 장비들을 전진 배치할 것이다." <br> <br>초소 복원 시점은 이 발표 바로 다음 날인 24일입니다. <br> <br>북한이 행동으로 보여주겠다며 거침없이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Q4. 우리 정부도 곧바로 맞대응 조치를 하겠죠?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은 순방에서 돌아온 뒤 첫 일정으로 오늘 오전 신원식 국방장관과 김명수 합참의장에게 이런 북한의 동향을 보고 받았습니다. <br><br>윤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"북한의 동향을 빈틈없이 파악하고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라" 지시를 내렸고, 김명수 합참의장은 곧바로 기자들과 만나 우리 군의 대응 조치를 예고했습니다. <br><br>비례의 원칙에 맞춰 같은 수준의 GP 복원이 유력한 카드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정부 고위 당국자도 맞대응은 당연하다면서, 5년 전 GP 철거 당시 우리는 완전 폭파하면서 북한과 철거 수준 차가 있어 우리 복원 시간이 더 오래걸릴 수 밖에 없다고 했습니다. <br><br>Q5. 북한이 위협 수준을 높이는데, 이게 얼마나 위협적인 거에요? <br><br>5년 전 남북 양측이 10곳씩 GP를 철거했지만, 사실 상징적인 조치였습니다. <br> <br>북한은 그 이후에도 150개 정도의 초소를 우리는 70개 정도 감시 초소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중요한 건 초소 개수보다도 북한이 어느 정도까지 도발 수위를 높일 거냐, 실제 도발할 거냐는 거겠죠. <br> <br>다음 카드는 9.19 합의 때 비무장하기로 했던 JSA 공동경비구역 재무장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30일 우리도 미국에서 북한을 겨냥한 군 정찰위성 발사가 예정돼 있는데요. <br> <br>북한의 도발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보입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